숲 속 : 너머의 여정

Forest : The Journey of Eternity

the great commission

숲 속 : 너머의 여정
2021. 4. 22 - 6. 13 / 서울숲

Forest : The Journey of Eternity
Apr. 22 - Jun. 13, 2021 / Seoul Forest

공연 소개

Performance Introduction

라이브 퍼포먼스 ‹숲 속›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의 시간을 떠나 그 이후의 시간을 상상해보며, 그 상상의 시간이 지니는 영속성과 자유를 추상적인 음악, 몸의 움직임, 멀티미디어의 복합예술 및 혼성장르 연출을 통해 소개한다.

‹숲 속›은 해질녘 서울 숲에 소재한 은행나무 길을 무대로 이루어진다. 숲 속의 밤은 고요하며, 미스터리하고, 신비로우며 보이는 것 외 나무 향, 촉감 혹은 특정 없는 소리들을 발생하며 우리의 내면에 집중하도록 한다. 그것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생생히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이며 우리의 기억에 각인할 수 있는 경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추상적인 것은 정신적인 자유를 준다. 은유적이고, 해학적이며, 때론 진지하고, 궁극적으로 하나로 정의할 수 없는 이 퍼포먼스 극은 객관화되기 어려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복합적인 감정을 상기시킨다. 이는 나아가 관객으로 하여금 그 상상의 여지를 통해 개인의 서사가 개입되며, 말로 형용할 수 없는 특정적인 인상과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몰입으로 이끈다.

이는 난해하게만 느껴졌던 추상적인 다원예술의 접근을 통해서 보는 이로 하여금 공감할 수 있는 감정의 연대를 도모하고자 한다. 그리고 지금 우리의 삶에 흐르고 있는 시간을 너머 예술이 다루는 상상의 시간이 선사하는 정신적인 회복을 통해 삶의 가치를 환기하기를 희망한다.

«The Journey of Eternity : Forest», featuring an imaginative portrait of a time after our existence, whose eternality and freedom is presented through a hybrid of abstract music, bodily movement, and multimedia.

The live performance takes place during sunset along the Maidenhair Tree St. of Seoul Forest. A night in a forest is serene, mysterious, and mystic—beyond what is visible, it features scents and textures of trees as well as unspecified sounds, leading us to focus on our inner self. Although we cannot see them with our eyes, they nonetheless form a part of the environment that we can vividly enjoy as a memorable experience.

An abstract thing gives us mental freedom. Metaphorical, humorous, at times serious, and ultimately uncategorizable, the performance brings up a complex emotion that comes from a flow of time that is hard to describe in objective terms. This room for imagination further immerses the audience into bringing in their own personal story, leaving ineffable, peculiar impressions and emotions.

Through an abstract approach of pluralistic art that has often come across as too difficult to comprehend, «The Journey of Eternity : Forest» seeks to facilitate a bond of empathy with the audience. Also, by moving beyond our current time into an imaginative time of art, the performance seeks to bring mental recovery and, through it, a refreshment of life’s values.

참여자 소개

Exhibition Introduction

우치는 감성전자음악작곡가로서 너머의 여정 공동 음악감독으로 1부 사운드의 작곡과 인터랙티브한 오디오비주얼을 맡았다. 주로 전 방위적인 융 복합장르의 사운드를 다루며 엠비언트와 즉흥적 실험음악을 구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작업으로는 1집 앨범 «CLOUDY»가 있으며 이 앨범은 2020년 뉴욕전자음악페스티벌에 초청되었다. 그 외 미디어아트 전시 ‹Seeing Sound, Listening Image›에 오디오비주얼 작품 ‘Gaslighting’과 ‘The Phase’를 출품, 퍼포먼스 전시 ‹삼각의 영역›에 뮤지션 참여, 이외 2020년 휴스턴국제영화제 수상작 ‹STAY› 외 총 7편에 음악감독으로 참여했다.

SEP은 싱어송라이터로서 Chill Hop, lofi genre를 기반으로 소울풀한 멜로디를 특징적으로 다룬다. 주로 소울을 기반한 재즈, 가스펠, 블루스 장르에 따른 건반과 기타 즉흥 작업에 탁월하다. 현 다원예술적인 공연과 퍼포먼스 음악감독으로도 활동 중이다. 주요 작업으로는 ‹삼각의 영역› 퍼포먼스 전시,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 센터 2019, ‹그가 달려왔다›, 서울 도시건축센터 및 돈의문 박물관 마을 2018, 메타스튜디오 ‘Lost in Korea’의 사운드 디렉팅 등이 있다. EP앨범으로는 ‘행복해줄래’, ‘Mother’ 등이 있다.

조유라는 배우로 ‹너머의 여정›에서 시간의 구조를 상징하는 존재로 등장한다. 시간이 넘나드는 틀, 곧 프레임에 ‘나’라는 존재에 기반으로 서사를 탐구한다. 특히 개인적 감수성이 촉발하는 삶과 땔 수 없는 질의에 대하여 관통하는 접근이 특징이다. 현재 연극뿐만이 아닌 매체 활동, 다원적 퍼포먼스 등 복합혼성장르의 예술과 실험적인 작업을 진행 중이다. 주요 이력으로는 장편영화 ‘세자매’ 공연 및 퍼포먼스로 ‘삼각의 영역’, ‘인간동화’, ‘눈 먼 사람들’, ‘잊혀지는 것’ 등이 있다.

강다혜는 삶의 이야기를 몸으로 담은 예술가로 서아프리카 춤을 추는 댄서이자, 즉흥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방식으로 퍼포먼스를 다룬다. ‹너머의 여정›에서 시간의 흐름을 대표하는 움직임을 선보이며, 유연한 시간의 몸을 표현한다. 소울적인 무브먼트를 지니며, 공간에 비물질적인 에너지를 불러일으키는 직관적인 방식이 특징이다. 현(現) Fonike / 5-thoughts-go / jido에서 댄서로 활동하며 «월간 강다혜» 프로젝트를 통해 매월 다양한 몸의 언어에 따른 퍼포먼스 작업을 발표한다. 그 외 ‘몰입의 장치’ (space 55), ‘일반적 기적’ (문래예술공장)등에 무용수로 참여했다.

김한은 배우로 ‹너머의 여정›에서 시간의 연합 및 연결에 대한 존재로서, 건축적이며 구조적인 심상의 움직임을 표현한다. 시선과 호흡에 따른 정적이고 강인한 인상을 전달하며 공연 내 상상의 환경에서 현실적인 투영을 가능하게 하는 대상으로 열연한다. 배우로서 '덜그덕 삐그덕 툭'(SK 소극장), '묵묵부담'(삼일로 창고극장) 등에 참여했고 비평적인 관점으로 희곡 ‘생각보다 가까이에’ (서울 연극센터) 및 ‘네발 달린 노동자’에 극작 등의 저술활동을 지속 중이다. 그 외 다원예술 퍼포머로서 '삼각의 영역'(플랫폼엘) '예술로 바라본 인류세'(서울시민청)등에 참여했다.

이관목은 공연예술과 영상매체 등 다양한 장르와 형식에서 배우로 활동 중이다. 현대적인 관점으로 사회를 반추하는 탐구로 전 방위적인 예술 활동을 추구하며 이번 ‹너머의 여정›에서 시간의 회고를 상징하는 대상으로 등장한다. 조형적인 존재로서 시간성이 지니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이끄는 역할을 맡았다. 주요이력으로 창작집단 ‘부나비’를 창단했고 ‘멋진신세계’, 뉴다큐멘터리 연극 ‘이방인의 만찬 – 난민연습’, UK City of Culture 주최 장소특정적 공연 ‘onedaymaybe’ 등에 참여했다. 뿐만 아니라 전주국제영화제 장편 경쟁작 ‹보이지 않는 오렌지에 관한 시선› 및 서울독립영화제 단편 경쟁작 ‘그림자 소녀’에 배우로 열연했다.

김지희는 공연예술가 및 배우로 활동 중이다. ‹너머의 여정›에서 퍼포먼스 조연출로서 액팅디렉션 및 라이브 퍼포먼스 진행을 맡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배우를 기반으로 연출, 안무, 영화 등 복합장르를 다루는 공연예술가로서 활약 중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음악극 홀스또메르’, ‘연극 백설공주를 사랑한 난장이’, ‘오페라 파우스트’에서 배우로 실연했으며, ‘연극 – 체홉. 사랑을 말하다’를 연출하였고, ‘음악극 – 연옥 3.14π’에서는 작가로서 활동했으며, 다원예술 프로젝트로는 ‹삼각의 영역› 에서는 무대감독으로 참여했다.

김아리는 조명디자이너로서 더 그레잇 커미션의 라이브아트 퍼포먼스 ‹너머의 여정› 및 ‹삼각의 여정›에 조명감독으로 참여했고 비물질적인 예술작업을 구현했다. 빛은 예술적인 의미를 만드는 언어적 체계라는 철학으로 사회적 언어로서의 빛의 특징을 파악하여 공간 및 공연 내 기능하는 작업을 추구한다. 주요 작품으로 2019 뮤지컬 그랑 조명디자인, 뮤직비디오 용기가 필요해- 제이화 조명디자인, 2016 문래 예술공장에서 열린 언랭귀지드 서울 오프닝공연 조명연출로서 참여했다.

박승만 작가의 사진 작업은 현실을 바라보는 시각의 이면에 있음직한 어떤 다른 시각, 혹은 어떤 다른 사유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하도록 만든다. 주요 이력으으로는 «DMZ, 문화역서울284, 2019»에 사진 아카이브로 참여했고, «경계, 아미미술관, 2019», «넥스트코드, 대전시립미술관, 2019», «보고도 못본척, B104, 2018», «날선 낯선, 돈의문박물관마을, 2018»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2016년 제 10회 미래작가상을 수상했다.

김수란 건축가(아워스튜디오)는 ‹너머의 여정› 무대디자인으로 참여했다. 메탈소재의 블라인드와 프레임구조를 통해 숲의 자연성과 대비되는 물성으로 공간을 연출했다. 특히 공간을 연합하고, 구분하며, 시선을 투과하는 블라인드의 특징적인 요소를 탁월하게 활용했다. 아워스튜디오는 건축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브랜딩, 도시, 조경, 전시/무대 디자인 등을 통해 환경과 스토리를 만드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WOOCHI is a co-music producer of The Journey of Eternity who has taken charge of interactive audiovisuals and sound composition for Part 1. Mostly dealing with sounds of an all-round fusion genre, WOOCHI is particularly characterized with his ambient and improvisational works of experimental music. Some of his major work include his first album CLOUDY, which was invited to the 2020 New York City Electronic Music Festival. His other activities include presentation of his audiovisual work “Gaslighting'' and “The Phase” in the media art exhibition Seeing Sound, Listening Image, participation as a musician in a live performance Triangular Zone, and participation as a music director for seven short films including Stay (premiered at the 2020 Housto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EP is a co-music producer of The Journey of Eternity and a singer-songwriter who specializes in soulful melodies based on the chillhop, lo-fi genre. He is particularly exemplar in keyboard and other improv works in soul-based jazz, gospel, and blues genres. Currently he is also active as a musical director for pluralistic concerts and performances. His major works include performance exhibitions Triangular Zone (Platform-L Contemporary Art Center, 2019) and he ran to (Seoul Center for Architecture & Urbanism and Donuimun Museum Village, 2018), and sound directing for metastudio “Lost in Korea.” His EP albums include “Will You Be Happy” and “Mother.”

Yu Ra Jo is an actress whose role in The Journey of Eternity is an entity symbolizing the structure of time, where she explores a narrative based on the existence of ‘self’ within a frame where the time moves in and out. Especially characteristic to her work is a penetrating approach about questions inseparable from a life catalyzed by individual sensibilities. Currently she is working not only on theatrical productions but also on composite hybrid genre artworks and experimental works like media activities, pluralistic performances. Her major participating works include a feature film Three Sisters and performances Triangular Zone, Human Motion Tale, Blind People, and Forgotten Stuff.

Dahye Kang is an artist who tells stories of life through her bodily movement. A dancer of West African dances, she handles performances using various improv-based techniques. She showcases in The Journey of Eternity movements representing a flow of time as she expresses a fluid body of time. She possesses a soulful movement, notable for intuitive ways to generate non-material energy within a space. She is an active dancer of Fonike / 5-thoughts-go / jido, and every month she presents a performance work of various languages of the body through her MONTHLY PROJECT KANGDAHYE. Additionally, she participated as a dancer in Immersion Device (space 55) and The Ordinary Miracle (Munrae Art Factory).

Han Kim is an actor who plays in The Journey of Eternity an existence about the union and connection of time, through which he expresses the movement of an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mental image. Communicating a static and firm impression through gaze and breath, he strives to enable reflection of reality at an imaginary environment inside a performance. As an actor he participated in Rattle Creak, Snap (Studio SK) and The Silent Burden (Samil-ro Changgo Theater), and as a playwright he continues to write from a critical viewpoint works such as Closer Than We Think (Seoul Theater Center) and the plays written for A Four-Legged Worker. As a pluralist artist to voice a small complaint about being forced to live in a violent reality. He has also participated as a performer in Triangular Zone (Platform-L) and Anthropocene as Viewed through Art (Seoul Citizens’ Hall).

Gwanmok Lee is an actor working in various genres and forms, including performing arts and visual media. In pursuit of all-round artistic activities with an exploration of ruminating over society from a modern perspective, he appears in The Journey of Eternity as a character symbolizing the reflection of time, in which he leads a series of processes that temporality, as a structural being, has. He founded an artist collective Garden Tiger Moth and participated in productions such as Brave New World, a new documentary play titled Foreigner’s Supper - A Refugee Exercise, and a locale-specific performance hosted by UK City of Culture titled One Day, Maybe. Additionally, he acted in a feature film A Gaze on an Invisible Orange, which competed in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in a short film Shadow Girl, which competed in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Jihee Kim is currently active as a performing artist and an actress, participating as acting director and the live performance emcee for The Journey of Eternity. Moreover, she works as a performing artist playing a range of roles from production to choreography and filmmaking. As her representative participating works, she acted in Tolstoy’s Kholstomer, a play The Dwarf Who Loved Snow White, an opera Faust, directed a theatrical production Anton Chekhov’s About Love, wrote for a musical play Purgatory 3.14π, and, for pluralistic art projects, participated as a stage director for Triangular Zone.

Ari Kim is a lighting designer who has participated as a lighting director for The Great Commission’s live art performances The Journey of Eternity and Triangular Zone and implemented non-material artworks. With a philosophy that a light is a linguistic system for creating an artistic meaning, she produces works where a light’s property as a social language is taken into account as it functions within a space or a performance. Her major works include lighting designs for the musical Gran, music video “We Need Brave” (2019) by Jhwa, and the opening ceremony of Unlanguaged Seoul (2016).

Seungman Park's photography works allow for discovering possibilities for alternative views or reasons for the prevailing views of reality. Representative achievements include a photography archive DMZ (Culture Station Seoul 284, 2019) as well as exhibitions Boundary (AMI Art Museum, 2019), Next Code (Daejeon Museum of Art, 2019), Pretending As If One Saw Nothing (B104, 2018), Sharp Unfamiliar (Donuimun Museum Village, 2018). He won the 10th Mirae Award in 2016. He participates as a photo archivist in The Great Commission's live art performances Journey of Eternity and Triangular Zone.

Sooran Kim (OURSTUDIO) has participated as a stage designer for The Journey of Eternity, presenting a space featuring blinds and frames made of metals—materials in a deliberate contrast with the naturalness of the forest. Particularly noteworthy is an excellent use of a blind’s characteristic property—that of uniting and separating spaces and transmitting people’s gazes. OURSTUDIO has been using not only architecture but also interior, branding, landscape, exhibition/ stage design, etc., in order to create environments and stories.

1 of 6

크레딧

Credit

참여작가_손경화 (영상), 송민규(평면)
참여공연자_강다혜(퍼포머), 김한(퍼포머), 조유라(퍼포머), 이관목(퍼포머)

기획 및 연출 전민경
조연출_김지희
그래픽 디자인_이하은
공연 사진 및 영상_박승만
영문 번역 및 감수 박재석

제작_더 그레잇 커미션
주최 및 후원_서울문화재단

Performers_Dahye Kang, Gwanmok Lee, Han Kim, Yu Ra Jo
Artists_Kyung Hwa Shon, Mingyu Song

Curator_Zoe Chun
Acting Director_Jihee Kim
Music Producers_SEP, Woochi
Lighting Designer_Ari Kim
Stage Designer_Sooran Kim (OURSTUDIO)
Designer_Grace Lee
Photographer_Seungman Park
Translation_Eugene Park

Production_The Great Commission
Sponsor_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